Anchorfire



Anchorfire

 
In the hush before dawn
I fold the promise into my pulse,
a quiet ember glowing steady.
 
Storm-clouds ram the horizon,
yet the ember grows to anchorfire—
motionless flame, unafraid of wind.
 
I name it “tomorrow”
and lash it to the mast of my soul;
no tide can chafe the rope I weave.
 
Because a distant singer
keeps the melody unbroken,
I learn the words by heart and stand.
 
Holding, I become held;
keeping, I am kept;
the ember burns on, bright and level.
 


Commentary

I picture hope as a spark I tuck into my own heartbeat. The storm that follows should extinguish it, yet turbulence only fans the spark into “anchorfire,” a flame that gives both light and ballast. By tying this fire to the “mast of my soul,” I refuse to drift when tides rise. The unseen singer represents the unchanging source of the promise; their steady song teaches me steadiness. In the final turn, the paradox emerges—gripping hope, I discover I’m the one held fast. Hope is not fragile optimism but a mutual exchange between promise and promised.


닻불

새벽의 정적 속에서
나는 약속을 맥박 속에 접어 넣고
조용한 불씨가 고요히 타오릅니다.
 
폭풍 구름이 지평선을 들이받아도
불씨는 닻불로 자라나
바람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불꽃이 됩니다.
 
나는 그 불꽃을 ‘내일’이라 부르며
영혼의 돛대에 단단히 묶습니다.
어떤 파도도 내가 엮은 밧줄을 닳게 하지 못합니다.
 
저 먼 곳에서 노래하는 이가
멜로디를 끊임없이 이어가기에
나는 가사를 외우며 우뚝 서 있습니다.
 
붙잡을수록 붙들려지고
지킬수록 지켜집니다.
불씨는 변함없이 곧고 밝게 타오릅니다.
 


해설

저는 이 시에서 새벽을 배경으로 한 작은 불씨로 희망을 묘사했습니다. 첫 연에서는 약속이 심장박동과 하나 되어 조용히 빛나는 모습을 그렸습니다. 두 번째 연에서 몰아치는 폭풍은 시련을 뜻하지만, 바람은 오히려 불씨를 ‘닻불’로 키워 흔들림 없는 중심을 만들어 줍니다. 세 번째 연에서 저는 그 불씨를 ‘내일’이라 이름 붙이고 영혼의 돛대에 묶어 어떤 파도에도 방향을 잃지 않으려 했습니다. 네 번째 연의 ‘먼 곳의 노래’는 약속을 끝까지 지키는 존재의 성실함을 은유합니다. 마지막 연에서는 희망을 붙잡는 행위가 곧 나를 붙들어 주는 힘이 됨을 역설적으로 보여 주어, 희망은 약속과 그 약속에 대한 신뢰가 서로 맞물릴 때 비로소 견고해진다는 메시지를 전하고자 했습니다. 변치 않는 진실이 내 삶을 환히 비추는 불꽃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ulse of a New Horiz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