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quitecta de mi destino
Arquitecta de mi destino
Yo no soy una víctima;
me lancé al borde del caos,
me tejí alas con la noche
y volví con el alba en mis manos.
Bailé sobre puentes de fuego,
con la risa en los labios ardiendo,
convertí las ruinas en catedrales
y el miedo en canto de viento.
No hay cicatriz que me nombre presa,
cada marca es brújula y mapa;
soy la autora de mis tormentas
y también de mis mañanas claras.
Explicación en español
El poema traza un viaje de autoconstrucción y resiliencia. La voz poética rechaza la etiqueta de “víctima” y se describe como arquitecta de su propio destino. Las imágenes de “tejer alas con la noche” y “bailar sobre puentes de fuego” ilustran la valentía de adentrarse en situaciones extremas. Las ruinas que se vuelven catedrales simbolizan la capacidad de transformar experiencias difíciles en fortalezas espirituales. Finalmente, las cicatrices dejan de ser señales de derrota y se convierten en brújulas que orientan el camino, reforzando la idea de autonomía y empoderamiento.
내 운명을 짓는 건축가
나는 피해자가 아니다
혼돈의 가장자리로 몸을 던지고
밤으로 날개를 엮어
새벽을 두 손에 담아 돌아왔다
불길의 다리 위에서 춤추며
타오르는 웃음을 입술에 얹고
폐허를 대성당으로 바꾸고
두려움을 바람의 노래로 만들었다
나를 포로라 부르는 흉터는 없다
모든 자국은 나침반이자 지도
나는 폭풍의 작가이며
맑은 아침의 주인이다
한국어 해설
이 시는 “나는 피해자가 아니다”라는 선언으로 시작하여 자발적 도전을 통해 성장한 자아를 그립니다. *“밤으로 날개를 엮어 새벽을 두 손에 담아 돌아왔다”*는 표현은 어둠(시련) 속에서 스스로 도약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얻었다는 의미입니다. 또한 *“폐허를 대성당으로 바꾸었다”*는 구절은 실패와 상처를 영적인 성소로 승화시킨 능력을 상징합니다. 마지막 연에서 흉터는 더 이상 연약함의 증거가 아니라 나침반(방향)과 지도(경로)로 재해석되어, 과거의 고난이 앞으로 나아갈 힘과 지혜가 되었음을 강조합니다. 전체적으로 시는 자기 책임과 회복 탄력성을 통해 주체적인 삶을 살아가는 태도를 힘 있게 전하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