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esaré mi maldad (Salmo 38:18)

La intención creativa del poema es hacer que el lector experimente emocionalmente el proceso central del Salmo 38:18—la confesión (“confesaré mi maldad”) y la consecuente resolución de la inquietud interior—desplegándolo en una cadena de imágenes: la fragilidad humana (vasija de barro), la persistencia del pecado oculto (ascua bajo la ceniza), el peligro de su crecimiento secreto (colmillos en la sombra), la doble transformación al exponerlo a la luz (culpa que se evapora y orgullo que cae como cáscara), la recuperación física y espiritual (los huesos que aprenden la música del reposo), la sanación por el Espíritu (el viento), la redefinición de la identidad (misericordia y no herida) y el nuevo comienzo (el alba sin máscara)


 Confesaré mi maldad (Salmo 38:18)

Confesaré mi maldad:
no soy roca sin grietas,
soy vasija que tiembla en la mesa del día.

Mi pecado no duerme;
late debajo de la costilla
como brasa cubierta de ceniza fina.

Lo nombro—
porque lo que se oculta en la sombra
crece colmillos de noche.

Lo pongo ante Tu luz:
la culpa se vuelve vapor,
el orgullo cae como cáscara reseca.

Mis huesos que crujían
aprenden de nuevo la música lenta del reposo.

No me glorío en mi llaga;
la abro para que el Viento
la limpie con ternura ardiente.

Confesaré mi maldad,
porque en Tu misericordia
la herida deja de dictar mi nombre.

Y cuando la ansiedad susurra,
respondo con verdad desnuda:
“Tú conoces todo; yo regreso”.

Entonces la noche se acorta
y un alba sin máscara
me viste con mansedumbre.


Explicación en español
El poema desarrolla la afirmación central del versículo (“Confesaré mi maldad; me angustio a causa de mi pecado”) mostrando la confesión como un acto de traer a la luz lo que en la sombra crece y daña. La “vasija que tiembla” subraya fragilidad humana. El pecado descrito como “brasa” indica calor persistente aunque aparentemente apagado. Nombrar el pecado evita su crecimiento oculto (“crece colmillos”). Al exponerlo a la luz divina, la culpa se disipa (“vapor”) y el orgullo—que mantiene el pecado oculto—se seca y cae. Los “huesos” que recuperan su “música lenta” evocan el alivio físico-espiritual tras la confesión. La llaga abierta no es morbo sino apertura terapéutica al “Viento” (símbolo del Espíritu). La identidad deja de estar dictada por la herida cuando interviene la misericordia. La ansiedad (eco de “me angustio”) se afronta con la transparencia: Dios ya conoce todo, y el yo retorna. El amanecer “sin máscara” simboliza vida renovada, mansedumbre fruto de haber soltado la auto-defensa del orgullo.


한국어 번역 (시와 동일한 행 구조 유지)
나의 악을 자백하리라 (시편 38:18)
나는 나의 악을 자백하리라:
나는 금이 없는 바위가 아니고,
하루라는 식탁 위에서 떨리는 질그릇입니다.

내 죄는 잠들지 않습니다;
얇은 재 아래 덮인 숯불처럼
갈비뼈 아래에서 뜁니다.

나는 그것을 이름 부릅니다—
그림자에 숨겨진 것은
밤에 송곳니를 키우기 때문입니다.

나는 그것을 주의 빛 앞에 둡니다:
죄책감은 수증기로 변하고,
교만은 마른 껍질처럼 떨어집니다.

삐걱거리던 내 뼈들이
다시 쉼의 느린 음악을 배웁니다.

나는 내 상처를 자랑하지 않습니다;
그것을 열어 바람이
뜨거운 온유로 씻기게 합니다.

나는 나의 악을 자백하리라,
주의 긍휼 안에서
그 상처가 내 이름을 규정하지 못하게.

불안이 속삭일 때,
나는 벌거벗은 진리로 대답합니다:
“주께서는 모든 것을 아십니다; 내가 돌아옵니다.”

그러면 밤은 짧아지고
가면 없는 새벽이
온유함으로 나를 입힙니다.


한국어 해설
시편 38편 18절의 핵심(자백·불안)을 중심으로 시적 이미지를 확장했습니다. “질그릇”은 인간의 연약함을, “재 아래 숯불”은 겉으로 가라앉아 보여도 내부에서 계속 뜨거운 죄의 작용을 상징합니다. “이름 부르기”는 구체적 인정이 은밀한 확대(“송곳니”)를 막는다는 영적 원리를 표현합니다. 죄를 빛 앞에 둘 때 “죄책감=증발, 교만=말라 떨어지는 껍질”로 이중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는 자백이 단순 감정 배출이 아니라 왜곡된 자아(교만) 해체 과정임을 시각화한 것입니다. “뼈”는 고통 속 신체적·정신적 긴장을 대표하며, 자백 후 회복의 리듬을 “쉼의 느린 음악”으로 묘사했습니다. 상처를 ‘숨기지 않고 연다’는 것은 무절제한 노출이 아니라 치유를 위한 처치 행위로, “바람=성령”의 정화(“뜨거운 온유”)가 일어나는 장면입니다. 정체성이 상처 대신 긍휼로 재정의되면서 불안의 속삭임에 “이미 아시는 분께 돌아가는” 투명함으로 응답합니다. 마지막의 “가면 없는 새벽”은 자백 후 새 출발과 내면의 온유(교만 제거 후 생기는 영적 유연성)를 상징합니다. 전체 구조는 ‘자백의 결단 → 은밀한 죄의 실체 → 빛 앞 노출 → 내적 해체와 회복 → 정체성 재정립 → 불안 대응 → 새벽’의 진행을 따라 독자가 실제 영적 자기 점검과 적용을 자연스럽게 따라가도록 설계했습니다. 도움이 더 필요하면 말씀 주세요, Kay Joo.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ulse of a New Horiz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