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azón que tiembla
Corazón que tiembla
Teme la aurora el corazón despierto,
porque en su luz se ve su sombra impura;
bendita es la mano que, en lo incierto,
tiembla y se aferra a la Voz que perdura.
Mas el pecho endurecido, roca seca,
no siente lluvia, ni aprende del trueno;
camina erguido mientras la grieta
se abre debajo, como silencioso veneno.
Dichoso quien tiembla: su miedo es semilla
que brota en obediencia y limpia memoria.
Ay de quien se cierra tras su muralla:
cae en la trampa y pierde la gloria.
Explicación en español
El poema desarrolla el contraste del versículo: la bendición de quien “tiembla” (vive con conciencia y reverencia) frente al peligro del corazón endurecido. Las imágenes de “aurora”, “roca seca” y “grieta” simbolizan la receptividad o la resistencia a la corrección divina. “Teme la aurora” expresa la humildad que reconoce su propia sombra. El endurecido “no siente lluvia” indica que la gracia no penetra. El final resume: el temblor produce obediencia; la dureza conduce a la caída.
떨림 있는 마음
깨어 있는 마음은 새벽을 두려워합니다.
그 빛 속에서 자기 그림자의 더러움을 보기 때문입니다.
불확실함 속에서도 떨며 붙드는 손은 복되니
영원히 남는 그 음성에 매달립니다.
하지만 굳은 가슴, 마른 바위는
비를 느끼지 못하고 우레에서 배우지 못합니다.
똑바로 걷지만 그 아래에서는 틈이 벌어져
조용한 독처럼 퍼집니다.
떨리는 자는 복되니 그 두려움은 씨가 되어
순종과 맑은 기억으로 움트고,
스스로 성벽 뒤에 닫힌 자는 화 있도다:
덫에 걸려 영광을 잃습니다.
한국어 해설
이 시는 잠언 28:14의 핵심인 “항상 경외하며 떨리는 자의 복”과 “마음을 굳게 하는 자의 재앙”을 대비합니다. 새벽과 그림자는 자기 죄를 인식하는 겸손을, 마른 바위와 비·우레는 하나님의 교훈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완고함을 상징합니다. ‘두려움’이 씨앗이 되어 순종으로 열매 맺는다는 표현은 경외가 성장과 보호를 가져옴을 나타내고, 성벽 뒤에 스스로를 가둔 모습은 마음을 닫아 멸망(덫)에 빠지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전체적으로 경외의 떨림이 진정한 복임을 시적으로 강조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