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ver con Rocío en los Labios
1. Poema en español (con título)
“Volver con Rocío en los Labios”
Que el malvado suelte la sombra que abraza,
y el hombre torcido deshaga su hilo de engaño;
vuelva al Señor, río que nunca se agota,
Él derrama perdón como lluvia temprana y tardía.
Sus pensamientos son huertos abiertos en mayo,
sus caminos, sendas que curvan hacia la paz.
Corre, corazón, antes de que el alba se quiebre:
hay brazos más anchos que tu culpa,
hay ternura que borra lo imborrable.
2. Explicación en español (recursos literarios y sentido)
-
Imagen central: “soltar la sombra” y “deshacer el hilo de engaño” evocan abandonar el pecado activo y la trama de la injusticia.
-
Metáforas de agua y campo: Dios es “río que nunca se agota” y sus pensamientos “huertos abiertos”. Remite a la abundancia y gratuidad del perdón.
-
Urgencia: “Corre, corazón, antes de que el alba se quiebre” introduce la premura del arrepentimiento.
-
Antítesis culpa/misericordia: “brazos más anchos que tu culpa” subraya que la misericordia divina supera cualquier pecado.
-
Eco bíblico: Lluvia temprana y tardía (Joel, Oseas) conecta con la idea de restauración sazonal y constante.
3. 한국어 번역
“입술에 이슬을 물고 돌아오라”
악인은 자신을 끌어안은 그림자를 놓아버리고,
굽은 길을 걷던 자는 속임의 실타래를 풀어 버리십시오.
마르지 않는 강이신 주께로 돌아오면,
그분은 이른 비와 늦은 비처럼 용서를 흘려 보내십니다.
그분의 생각은 오월의 열린 과수원 같고,
그분의 길은 평화로 굽이치는 오솔길입니다.
새벽이 부서지기 전에 달려가십시오, 내 마음아:
당신의 죄보다 더 넓은 팔이 기다리고,
지울 수 없던 것을 지워 주는 온유함이 있습니다.
4. 한국어 해설
-
핵심 주제: 이사야 55:7의 초점은 ‘돌이킴(회개)’과 ‘풍성한 용서’입니다. 시는 죄를 “그림자”와 “속임의 실타래”로 형상화하여, 붙잡고 있던 것을 스스로 놓아야 함을 강조합니다.
-
하나님의 자비 비유: “마르지 않는 강”, “이른 비와 늦은 비”는 고갈되지 않는 자비와 시기 적절한 은혜를 나타냅니다. 이는 건기와 우기를 겪는 청중에게 생생한 이미지입니다.
-
시적 긴박감: “새벽이 부서지기 전에”라는 표현은 기회가 있을 때 즉시 돌아와야 함을 말합니다. 회개는 내일로 미룰 일이 아니라 오늘 결단할 일임을 상기시킵니다.
-
신학적 메시지: 인간의 죄보다 크고 넓은 하나님의 품—“더 넓은 팔”—은 죄의 크기보다 은혜의 크기를 강조합니다. “지울 수 없던 것을 지워 주는 온유함”은 사죄(赦罪)의 본질을 섬세히 드러냅니다.
-
적용 포인트:
-
붙잡고 있는 ‘그림자’를 구체적으로 명명하고 내려놓기.
-
용서를 받기 어려운 과거라도 하나님의 비유 무한한 은혜 안에서 새출발 가능.
-
회개를 정보나 감정이 아닌 ‘방향 전환’으로 이해하고 실제 삶의 경로를 바꾸기.
-
댓글
댓글 쓰기